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병렬콘덴서
- 전기기사
- 특성요소
- 방향성 계전기
- 전기를 끄적이는 메모장
- 대칭분 비대칭분
- 비접지
- 체크카드
- 피뢰기
- 서지흡수기
- 비상발전기
- 전압강하
- 계전기
- 86
- 직렬리액터
- 엑슨모빌
- delta결선
- 배당률
- 배당 지급일
- 배당일
- investing
- V결선
- 페이저
- 소호리액터 방식
- Phasor
- 1선지락사고
- REF630
- 분로리액터
- 4단자망
- 델타결선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91)
전기를 끄적이는 메모장

이번 시간은 사고 빈도는 낮지만 고장 시 사고 전류가 가장큰 3상 단락 사고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 1. 3상단락사고 파헤치기 3상 단락사고는 쉽게 예측 할 수 있듯이 다음과 같이 나타나게 됩니다. 또한 고장시의 Factor변화는 Va=Vb=Vc=0로 간단하게 나타납니다. 2.고장조건을 이용하여 대칭분 전압, 전류 구하기 3상 단락사고는 식이 용이하여 계산하기가 수월한 편입니다. 고장시의 사고전류와 전압 및 페이저를 미리 구해보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Va=Vb=Vc=0이므로 대칭분 또한 0의 값을 갖게 됩니다. 다음은 발전기의 기본식을 이용하여 전류의 대칭분을 찾아 보겠습니다. 더이상의 설명이 필요하지 않은 것 같습니다. 다음은 비대칭분의 전류값을 알아 보는 시간을 가져보게습니다. 3. 비대칭분의 ..

이번 시간은 2선 지락사고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 1선 지락사고나 선간단락사고 처럼 빈도 수가 높지는 않지만 계전기에서 나타나는 페이저도가 특별할 수 있기 때문에 알아 놓으면 좋을 것 같습니다. 1. 2선지락사고 파헤쳐보기 2선지락사고는 어렵게 느껴질 수 있지만 선간단락과 지락사고가 동시에 일어난 case라 생각한다면 이해하기 쉬울것 입니다. 이어서 고장시 Factor의 변화(사고 조건)은 Va=Vb=0, Ia=0으로 간단합니다. 그 다음은 대칭분의 전압,전류를 찾아보겠습니다. 2. 대칭분의 전압, 전류 V1과 V2를 구하는 방법이 단락사고와 비슷하다는 것을 느끼셨나요? (기억이 나지 않는 다면 한번 집고 넘어가요) https://retriever12.tistory.com/entry/%EC%84%A0..

이번 시간은 1선 지락고장에 이어 2번째로 빈도가 높은 선간단락 고장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고장시 어떤 현상이 발생하고 어떤 페이저를 갖는지 확인해 보겠습니다. 1.선간단락 및 고장조건 선간단락이 일어나면 다음과 같은 그림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두 상의 선이 단락되어 Vb와 Vc가 같고, Ib와 Ic는 크기는 같고 방향이 반대방향인 전류가 흐르게 됩니다. 이에 따라 고장시 변화 Factor(고장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2.대칭분 전압과 대칭분 전류 이 조건을 이용하여 대칭분의 전압을 알아보겠습니다. 이어서 전류의 대칭분도 함께 구해보아요! 이어서 발전기의 기본식으로 가서 대칭분의 전압전류의 상관 관계를 알아볼게요. 3.비대칭분 전압과 비대칭분 전류 이제 비대칭분의 전압, 전류만 구하면 고장상의 페..

이번 시간은 대칭분 변환에 이어 발전기의 기본식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공부방향은 다음과 같습니다. 먼저 '발전기의 기본식이 어떻게 생겼는가' 또한 '발전기의 기본식이 어떻게 도출되고 활용되는가'에 대한 궁금증을 공유해 보고 파훼하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1.발전기의 기본식 발전기의 기본식을 파훼하기에 앞서 형태를 바르게 익히고 가야합니다. 왜 정상분에만 Ea라는 발전기 기전력 값이 존재하는지 이해하고 알아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추후에 Z0, Z1, Z2 등 영상, 정상, 역상 임피던스를 선형대수학을 통해 알아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발전기 기본식을 증명하기에 앞서 다음 그림을 보며 발전기의 기본식의 근원을 알아보겠습니다. 발전기는 Ea, Eb, Ec라는 기전력을 생성하게됩니다. ..

영상분, 정상분, 역상분의 의미를 알아보고 왜 분해하여 사용하는지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또한 이번 시간을 통해 연산자의 개념과 대칭분과 비대칭분을 구별하여 올바르게 사고전류를 파악하는데 도움을 드리겠습니다. 가장 먼저 해당 챕터에 들어가기 앞서 Phasor계산에 필수적인 연산자를 알아보겠습니다. 1. 연산자는 무엇인가?( Vector operator) 연산자 A는 크기가 1이고 반시계방향의 각 120도를 갖는 단위 방향벡터입니다. 120도를 사용하는 이유는 전압이나 전류는 3상을 사용하며 위상차이를 가장 분명하게 나타내 줄 수 있는 방법이기 때문입니다. *연산자는 일반적으로 a를 사용 하지만 a상의 a와 많이 혼동되어 저는 A로 치환하여 사용합니다. 그렇다면 이 연산자 A는 어떤 특징을 갖..

이번 시간은 지난 시간의 1선지락사고 직접접지에 이어 1선 지락 사고 고저항 접지에 대한 페이저와 사고분석을 하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1선지락사고의 직접접지 방식과 달리 고저항 접지에서는 앞선 내용과 다른 차이가 있습니다.) 서론은 간단히 하고 본론으로 넘어가겠습니다. 1. 1선 지락사고 고저항 접지 페이저 분석 직접 접지와 저항 접지의 차이점은 Y결선에 적용되는 저항이 존재한다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이런 저항이 선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페이저를 통해 어떤 성향을 띄는지 파악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직접 접지의 경우와 비접지의 경우의 차이 전류는 다음과 같이 흐르게 됩니다. 중요한 것은 Zg값이 등가회로에 의해 Z0+ZL이 아닌 Z0+3*Zn이 된다는 사실을 알아야 합니다. 결론적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