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페이저
- delta결선
- 대칭분 비대칭분
- 배당률
- 전압강하
- V결선
- 특성요소
- 전기기사
- investing
- 엑슨모빌
- REF630
- 피뢰기
- 직렬리액터
- 4단자망
- 분로리액터
- 서지흡수기
- 비접지
- 델타결선
- 계전기
- 병렬콘덴서
- 배당 지급일
- 방향성 계전기
- 86
- Phasor
- 체크카드
- 1선지락사고
- 소호리액터 방식
- 전기를 끄적이는 메모장
- 비상발전기
- 배당일
- Today
- Total
목록전기를 끄적이는 메모장/전기 이론&실무 메모장 (22)
전기를 끄적이는 메모장
발전기 보호반 시험 중 비동기 투입 방지에 대한 보호요소를 배우게 되었고, 비동기 투입 방지 보호요소가 잘 사용되지 않기에 잊어버리지 않기 위해 기록 하기로 하였습니다. 1. 발전기 동기 투입 발전기가 동기 투입이란 계통에 흐르는 전압과 발전기에서 생성해낸 전압의 크기, 위상 주파수 파형이 일치하는 부분에서 차단기(GCB)가 투입되는 것을 동기 투입이라 합니다. 발전기 최전단에 붙은 GCB 차단기를 투입하는 것을 계통병입이라 합니다. 그렇다면, 왜 발전기를 투입할 때 전압의 크기, 위상, 주파수, 파형 등을 고려하여 투입하여야 할까요? 그것은 발전소가 상시 운전 중이지 않을 때는 한전에서 전력을 받아 소비하기 때문입니다. 발전소에서 사용하는 전력을 발전소에서 만들어 사용하기도 하지만, 시운전 기간이나 발..
이번 시간은 기동전류에 대해 먼저 알아보고, 기동전류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계전기 오동작을 어떤 방식으로 방지 하는지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 보도록 하겠습니다. 1. 기동전류 (Inruch current) 전동기를 가압할 때 가장 단순하고 쉬운 방식이 직입 기동방식입니다. 하지만 이런 직입기동 방식을 선택할 경우 큰 Risk가 따르게 되는 데 이것이 바로 inrush current 기동전류입니다. 기동전류는 쉽게 설명하자면 멈추어 있는 전동기를 시동하기위해 필요한 전류를 말합니다. 예를 들어 멈추어 있는 물체를 밀어서 움직이기 위해서는 최대 정지 마찰력 보다 큰 힘을 가하여야 합니다. 여기서 최대 정지 마찰력의 힘을 기동회전력이라고 하며 구속된 회전자를 회전시키는 힘 또는 출발 회전력이라 일컫습니다. 위..
이번 장은 IED와 SCADA system에 대한 구성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하여 작성하였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전기기사를 공부하면서 발전소나 한국전력, 대기업의 석유화학공단 등에서의 전기엔지니어 생활을 꿈꿀 것이라 생각합니다. 혹은 이미 그 꿈을 이루었으며, IED와 SCADA에 대한 정의가 필요하여 방문하신 분들도 계실 것이라 생각합니다. 어떻게 그렇게 많은 차단기, 부하(Feeder와 Motor)들을 관리할까 생각하시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고자 합니다. 주의 ! 하기 자료는 기사에 관련된 내용이 아니며, 향후 전기관련 일을 하게될 취준생들에게 어떤일을 하는지에 대한 역무를 소개하는 장 입니다. 1. IED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먼저 IED는 전기기사를 공부하는 사람..
안녕하세요. 오늘은 전기기사를 공부하면서 수 없이 외웠던 발전기 병렬 운전 조건에 대하여 알아보고, 현장 실무에서는 병렬운전 조건이 어떻게 맞추어 지는지 확인을 해보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1. 발전기 병렬 운전 조건 '비상용 동기발전기의 병렬운전 조건 4가지를 쓰시오' 전기기사를 공부하면서 여럿 보아 왔던 문제였습니다. 병렬 운전을 할 때 사용하겠거니 하면서 외웠던 기억이 납니다. 전기 관련 업무를 시작하면서 전기기사에 나왔던 문제들이 간혹 등장할 때 순간 헷갈리거나 기억이 나질 않는경우가 많았습니다. 어떤 곳에 어떻게 사용되는지 알지 못하였기 때문에 기사를 취득 후 잊어버린 경우가 많았습니다. 실무에서 사용되는 것을 보며 이해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발전기 병렬 운전 조건 4가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
이번 시간에 알아 볼 단어는 WATCH DOG 입니다. 이 WATCH DOG이라는 단어는 기계나 기기를 사용하는 많은 곳에서 사용되는 용어입니다. 이 용어가 PANEL에서는 어떻게 적용되는지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1. WATCH DOG 의 사전적의미 판넬에서 간혹 찾아볼 수 있는 WATCH DOG에 대해 알아보기 전에 이 단어가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 찾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다음과 같이 시스템의 기계적인 고장에 관련된 단어 입니다. 이 단어가 PANEL에 적용 되었을 경우 일반적으로 Relay(계전기)의 시스템 고장을 나타내게 됩니다. 2. IRF (Internal Fault Signal) 여기서 WATCH DOG의 신호는 계전기의 IRF신호와 굉장히 밀접한 연관이 있습니다. IRF신호는 계전기의..
이번챕터는 페란티 현상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직&병렬리액터 챕터를 하면서 페란티 현상에 대해 간략히 언급한 바가 있습니다. 하지만 이번 페란티 현상에 대한 장에서는 페이저를 이용하여 어떻게 수전단 전압이 송전단전압보다 높아질 수 있는 지에 대해 알아 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직&병렬 리액터 챕터를 먼저 보고 오신분들은 페란티 현상의 의미를 이해하셨을 것이라 생각되지만, 이번 챕터만을 숙지하는 분들을 위해 처음부터 작성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1. 페란티 현상의 의미 페란티 현상은 선로의 진상 전류(충전전류)나 자기 인덕턴스에 의한 기전력 때문에 수전단의 전압이 송전단 전압보다 높아지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장거리 송전 선로에서의 경우 이 페란티 현상을 쉽게 관찰 하실 수 있습니다. 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