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체크카드
- 서지흡수기
- 전압강하
- REF630
- 병렬콘덴서
- 비접지
- 전기를 끄적이는 메모장
- Phasor
- V결선
- 직렬리액터
- 소호리액터 방식
- 대칭분 비대칭분
- delta결선
- 비상발전기
- 4단자망
- 페이저
- 배당일
- 특성요소
- 계전기
- 엑슨모빌
- 분로리액터
- 전기기사
- 86
- 배당 지급일
- 피뢰기
- 1선지락사고
- 델타결선
- 방향성 계전기
- 배당률
- investing
- Today
- Total
목록전기를 끄적이는 메모장/전기 이론&실무 메모장 (22)
전기를 끄적이는 메모장
이번은 전기업무를 하며 습득했던 지식 중 일부를 공유하며 또 이해하기 위한 시간을 가져 보도록 하겠습니다. 전기기사를 공부하거나 실무에 투입되었을 때 Tie Bus 에 대해 들은 적이 있었을 것입니다. Part1과 Part2로 나누어 포스팅 하겠습니다. Part 1 에서 Tie 와 Tie Bus에 대해 생각해 보고 Part 2에서 Tie 의 interlock조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BUS와 Bus Tie의 용도와 이해(What is the Bus & Bus Tie?) PART 1 1. BUS란? 전기에서 BUS를 부스라고 부르며 전력의 배전을 위해 사용하는 배전선을 의미합니다.(배전 선로) 일반적으로 배전선로를 이해하기 위해 수도관과 연관을 지어 생각합니다. 그림을 통해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위 ..
2020년 1회차 시험 연기에 대한 정보를 보고 싶으신 분들은 아래 링크를 이용해 주세요! https://retriever12.tistory.com/54 전기기사,공사기사 필기시험 일정연기(Feat. 기사시험 연기) 오는 4월 20일 기준으로 전기기사 및 전기공사기사, 기타 기사와 산업기사 필기시험이 연기되었습니다. 원래 4월 25일 기준으로 잡혀있던 시험이 아래와 같이 6월 6일로 이동된 것인데요. 이는 1회차와 2회차 시험.. retriever12.tistory.com 2020년도가 다가오면서 많은 취준생 및 대학생분들이 스펙 쌓기에 열일 중입니다. 이에 도움이 되고자 지난년도와 달라진 시험방식과 시험일자에 대해 알려드리고자 이번 블로그를 포스팅 하게되었습니다. 1. 기사시험 일자 & 준비물 등록시기..
이번 시간은 잔류회로와 ZCT결선의 차이와 용도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업무를 하면서 잔류회로결선이 되어있는 Relay와 ZCT 결선이 되어 있는 Relay의 용도가 크게 달라 보이지 않았습니다. 각각의 결선이 된 Relay들은 과전류와 지락전류를 검출 할 수 있었고 두 Relay의 특별한 차이점이라면 ZCT를 이용한다는 것 말고는 알 수 없었습니다. 그렇다면 이 2가지 Relay들이 어떻게 사용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잔류회로결선 과 ZCT결선 방법 두 회로의 결선방식을 그림을 통해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습니다. 2. 잔류회로와 ZCT의 차이점 이 두 가지의 Relay의 차이는 CT Ratio(전류비)에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잔류회로결선에 사용되는 CT는 A에서 N까지 비가 같습니다...
이번 시간에 공부하게될 CT결선과 고장 페이저 계산은 지난 시간에 87N계전기에 대한 궁금증을 조금 더 깊게 파훼하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그리고 이번 시간은 이론적인 사실 보다는 실무적인 현상이 더욱 첨가된 글이며 여러 계전기 회사의 계전기의 특색이 다양하기 때문에 모든 계전기에 맞지 않을 수 있으며 최대한 다양한 계전기의 특색을 수렴하려고 노력하였습니다. 먼저 빠른 진행을 위해 지난 글을 링크를 걸어 놓겠습니다. https://retriever12.tistory.com/12 방향성 계전기 & 계전기가 방향을 읽는 방법(How to determin the direction of Relay :87N) 이번 시간에 알아볼 것은 방향성 계전기와 계전기가 방향을 어떻게 읽어 낼 것인가에 대한 궁금증을 공유하는 ..
이번 시간에 알아볼 것은 방향성 계전기와 계전기가 방향을 어떻게 읽어 낼 것인가에 대한 궁금증을 공유하는 시간을 가져 보겠습니다. 1. 방향성 계전기의 종류 방향성 계전기에는 다양한 종류의 계전기가 존재합니다. 그중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향성 계전기로는 67, 67N, 87, 87N의 4가지 계전기가 존재합니다. 전기기사를 공부하다 보면 67계전기를 지락방향계전기(DGR)로 많이 외우게 됩니다. 하지만 실무에서 67계전기는 방향성 과전류계전기(DOCR) , 67N계전기는 지락과전류계전기(DGR)라는 명칭을 사용하게 됩니다. 87계전기는 전류차동계전기, 비율차동계전기라 칭하며 87N계전기는 중성선 차동계전기 라 부릅니다. (실무 지역마다 다를 수 있습니다.) 2. 방향성 계전기가 위험 요소를 판단하는 방법..
이번 시간은 사고 빈도는 낮지만 고장 시 사고 전류가 가장큰 3상 단락 사고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 1. 3상단락사고 파헤치기 3상 단락사고는 쉽게 예측 할 수 있듯이 다음과 같이 나타나게 됩니다. 또한 고장시의 Factor변화는 Va=Vb=Vc=0로 간단하게 나타납니다. 2.고장조건을 이용하여 대칭분 전압, 전류 구하기 3상 단락사고는 식이 용이하여 계산하기가 수월한 편입니다. 고장시의 사고전류와 전압 및 페이저를 미리 구해보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Va=Vb=Vc=0이므로 대칭분 또한 0의 값을 갖게 됩니다. 다음은 발전기의 기본식을 이용하여 전류의 대칭분을 찾아 보겠습니다. 더이상의 설명이 필요하지 않은 것 같습니다. 다음은 비대칭분의 전류값을 알아 보는 시간을 가져보게습니다. 3. 비대칭분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