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방향성 계전기
- 전압강하
- 엑슨모빌
- 직렬리액터
- 서지흡수기
- 계전기
- 델타결선
- 86
- 전기를 끄적이는 메모장
- 피뢰기
- 비접지
- 전기기사
- 특성요소
- 배당률
- 분로리액터
- 4단자망
- 배당 지급일
- 소호리액터 방식
- 페이저
- 비상발전기
- Phasor
- investing
- 체크카드
- 병렬콘덴서
- V결선
- 대칭분 비대칭분
- delta결선
- 1선지락사고
- REF630
- 배당일
- Today
- Total
목록전기를 끄적이는 메모장/전기 이론&실무 메모장 (22)
전기를 끄적이는 메모장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p5WO0/btqz1L1SK5p/j2LZ7nr7BkN5lC23vJa0TK/img.png)
이번 시간은 2선 지락사고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 1선 지락사고나 선간단락사고 처럼 빈도 수가 높지는 않지만 계전기에서 나타나는 페이저도가 특별할 수 있기 때문에 알아 놓으면 좋을 것 같습니다. 1. 2선지락사고 파헤쳐보기 2선지락사고는 어렵게 느껴질 수 있지만 선간단락과 지락사고가 동시에 일어난 case라 생각한다면 이해하기 쉬울것 입니다. 이어서 고장시 Factor의 변화(사고 조건)은 Va=Vb=0, Ia=0으로 간단합니다. 그 다음은 대칭분의 전압,전류를 찾아보겠습니다. 2. 대칭분의 전압, 전류 V1과 V2를 구하는 방법이 단락사고와 비슷하다는 것을 느끼셨나요? (기억이 나지 않는 다면 한번 집고 넘어가요) https://retriever12.tistory.com/entry/%EC%84%A0..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OpPT9/btqzYaPzz15/Z7kHKxn8mFLxQZME65gGe0/img.png)
이번 시간은 1선 지락고장에 이어 2번째로 빈도가 높은 선간단락 고장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고장시 어떤 현상이 발생하고 어떤 페이저를 갖는지 확인해 보겠습니다. 1.선간단락 및 고장조건 선간단락이 일어나면 다음과 같은 그림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두 상의 선이 단락되어 Vb와 Vc가 같고, Ib와 Ic는 크기는 같고 방향이 반대방향인 전류가 흐르게 됩니다. 이에 따라 고장시 변화 Factor(고장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2.대칭분 전압과 대칭분 전류 이 조건을 이용하여 대칭분의 전압을 알아보겠습니다. 이어서 전류의 대칭분도 함께 구해보아요! 이어서 발전기의 기본식으로 가서 대칭분의 전압전류의 상관 관계를 알아볼게요. 3.비대칭분 전압과 비대칭분 전류 이제 비대칭분의 전압, 전류만 구하면 고장상의 페..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GZoYo/btqzNCTjhCY/MezVuo2ijX2q3yqk51MBOk/img.png)
이번 시간은 지난 시간의 1선지락사고 직접접지에 이어 1선 지락 사고 고저항 접지에 대한 페이저와 사고분석을 하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1선지락사고의 직접접지 방식과 달리 고저항 접지에서는 앞선 내용과 다른 차이가 있습니다.) 서론은 간단히 하고 본론으로 넘어가겠습니다. 1. 1선 지락사고 고저항 접지 페이저 분석 직접 접지와 저항 접지의 차이점은 Y결선에 적용되는 저항이 존재한다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이런 저항이 선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페이저를 통해 어떤 성향을 띄는지 파악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직접 접지의 경우와 비접지의 경우의 차이 전류는 다음과 같이 흐르게 됩니다. 중요한 것은 Zg값이 등가회로에 의해 Z0+ZL이 아닌 Z0+3*Zn이 된다는 사실을 알아야 합니다. 결론적으로..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8cXFM/btqzPmg6iBh/HDI6RRIh5OC6YdBu7NpuEk/img.png)
글에 대한 서두가 많이 길 수 있습니다. 본론으로 넘어 가고싶은 분들은 스크롤 부탁드립니다!! 전기를 공부하여 취업에 준비하거나 현장에서 사용될 전기에 대해 이해하고 싶은 사람들을 위해 이 자료를 만들게 되었습니다. 저 또한 전기를 배우는 입장에서 누군가를 가르치기 보다는 전기에 대한 생각을 서로 공유하고 성장해 나갔으면 하는 바람으로 이 자리를 만들며 가꾸어 나가겠습니다. 아래 자료를 읽거나 공부하며 '내 생각은 조금 다르다' 혹은 '이것은 틀린 것 같다' 라고 생각되는 부분이나 문장이 있다면 캡쳐하여 아래의 이메일이나 댓글로 남겨 주십시오. 어떤 비판이나 글에 대한 문제점 제기도 겸허히 받아드리며 감사하는 마음으로 하나하나 읽어 보겠습니다. 2. 1선지락 사고를 파헤쳐보기 (직접접지) 고장시 변화F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