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엑슨모빌
- 병렬콘덴서
- Phasor
- V결선
- delta결선
- 체크카드
- 전압강하
- 특성요소
- 직렬리액터
- 1선지락사고
- 비상발전기
- 86
- 방향성 계전기
- 배당률
- 분로리액터
- 서지흡수기
- REF630
- 전기를 끄적이는 메모장
- 계전기
- investing
- 배당 지급일
- 4단자망
- 페이저
- 소호리액터 방식
- 델타결선
- 전기기사
- 비접지
- 피뢰기
- 대칭분 비대칭분
- 배당일
- Today
- Total
목록전기를 끄적이는 메모장/전기 이론&실무 메모장 (22)
전기를 끄적이는 메모장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xfikZ/btqEJBOxDjg/Zhm7ovrCmegeSFwX0CM9Dk/img.png)
이번 시간은 지난번 잔류회로와 ZCT결선법을 배우면서 다른 결선법에 대한 궁금증을 해결하기위한 장을 마련하였습니다. 잔류회로에 대한 개념을 리마인드 하기위한 글을 이글 끝에 올려 두겠습니다. 또한, 많은 분들이 결선법에 대해 궁금증을 가지는 것을 유입 키워드를 통해 알게 되었습니다. 이에 많은 분들이 정보를 얻어 가셨으면 합니다. 서론은 이쯤 하고 본론으로 넘어가겠습니다. 1. Y결선 1) CT : 변류기의 Y(성형)결선 변류기의 Y결선은 잔류회로 결선으로 불리우는 결선입니다. ZCT를 이용하기보다 결선을 통한 페이저의 합으로 영상분의 전류를 파악하는 방법입니다.( 잔류회로에서는 영상전류의 3배 전류가 흐르게 됩니다.) 변류기를 3대 사용하여 각 상의 전류를 얻을 수 있도록 접속하며, 단락 및 지락 계전..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lKdG2/btqDWsY9rHN/P0DMEoneK7QGPKjStpdGHK/img.png)
이번 시간은 전기관련 업무를 하면서 누구나 한 번쯤 들어 보았을 비율 차동계전기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많은 책이나 블로그에서 비율차동계전기의 배울 수 있는 내용보다 실무에서 비율 차동계전기가 어떻게 동작하는지 알아보는데 초점을 맞추어 정보를 공유하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주의! 전기기사와 관련이 없을 수 있습니다.) 향후 전기기사를 공부하는 분들을 위한 비율차동계전기 파트를 따로 만들겠습니다. 1.비율차동계전기 비율 차동계전기는 발전기, 변압기 등을 보호하기 위한 계전기 입니다. 1,2차측의 전류의 벡터차이를 이용하여 보호 요소를 동작시키게 됩니다. 비율차동계전기의 가장 큰 핵심은 CT에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CT의 포화 특성에 의해 비율차동계전기의 Id,Ib특성곡선이 나타나게 되며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hfHCp/btqDw3ZMUDx/WKbErRqzCLQkspAl1wVp4k/img.png)
이번 시간에는 60 계전기의 전압 평형 계전기 중 Fuse Fail Relay에 대해 알아 보는 시간을 가져 보도록 하겠습니다. 타 현장에서 전압 평형계전기와 퓨즈 페일은 다른 계전기라고 말하는 곳도 있을 수 있지만, 사전적 정의에 의해 Fuse Fail은 전압 평형 계전기 중 하나의 계전기 임을 알 수 있습니다. 1. 전압 평형 계전기의 사전적 의미 전압 평형 계전기의 사전적 의미를 알아보기 위해 Daum 사전을 통해 뜻 풀이를 알아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복수 전압들 간의 크기 차이가 일정한 값 이상이 되었을 때 작동하는 계전기. 그렇다면 이번 시간에 알아볼 Fuse Fail은 어떤 성격을 가지고 있을까요? Fuse Fail의 의미를 알아 보기전 먼저 PT에 대해 숙지하고 있어야 합니다. (PT에 대한..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RiSyW/btqDeUoclYa/HrXb7eIk3NoKHN89jAiyHK/img.png)
이번 시간은 전기실무를 하지 않으면 생소할 수 있지만 전기기사나 전기공사기사를 공부하다 보면 한 번씩 나와 궁금증을 자아내는 CTT와 PTT에 대해 알아 보고, 계기용 변압기와 변류기에 대한 생각을 공유하는 시간을 가져 보도록 하겠습니다. CTT,PTT에 대해 알아보기전 먼저 CT와 PT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계기용 변압기 (Potential Transformer) 계기용 변압기는 고전압을 저전압으로 변성하여 계측기나 계전기 전압 측정을 위해 사용하는 기기입니다. 또한 여러 계기(전압계, 전력계, 트립코일 등)에 전원을 공급하기도 합니다. (큰 전압을 그대로 계전기가 PT없이 받을경우 쉽게 소손되거나 변압기 유지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또한, 계기용 변압기의 2차측은 일반적으로 110V이..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93WUw/btqC6QsaWIG/buuDqqkq3b0hXCkQrKP50K/img.png)
이번 시간은 전기와 관련된 공부를 하면서 헷갈렸던 50과 51에 대한 생각을 공유하는 시간을 가져 보도록 하겠습니다. 1. 50/51계전기 제가 전기와 관련된 일을 시작할 때 과전류 계전기의 번호에 대해 조금 난해 하였던 적이 있었습니다. 과전류 계전기의 번호를 물었을 때 50과 51 중 어떤 번호를 사용하여야 옳은지 파악하기 힘들었기 때문입니다. 저와 같은 생각을 하시는 분들이 있을것 같아 제가 일을 하면서 쌓은 경험적인 지식을 공유해보고자 합니다. 먼저 전기기사를 공부할 때 옛날 문제집을 본다면 계전기 번호를 맞추는 문제를 간혹 볼 수 있을 것 입니다. 거기서 '과전류 계전기와 과전압 계전기에 대한 번호를 써라' 라는 문제는 잘 나오지 않지만 '51의 보호요소는 무엇인가?' 라는 단답식 문제는 쉽게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rS5YJ/btqCevXUTUP/AwYljY8TyW4vWXvc24ypyK/img.png)
이번 시간은 직접 계전기를 시험하면서 얻었던 지식을 공유하기 위한 자리를 마련 하였습니다. 계전기를 시험하면서 많은 부분 헷갈리는 점을 쓰게 되었고 저도 다시한번 복습할 수 있는 기회를 갖기 위해 포스팅을 하였습니다. 제가 시험한 계전 요소는 27L과 27B입니다. 또한 사용한 계전기는 ABB-REF630 모델이며 보호요소 27 : Under Voltage Protection을 시험 하였습니다. 1.계전기의 결선 방법 저는 계전기를 결선하기 위해 PT부를 Delta 결선 하였습니다. 계전기의 메뉴에서 Delta로 할 것인가 Y로 할 것인가 설정이 가능하였고, 계산의 편의성을 위해 Delta 결선을 하였습니다. 결선방식과 결선도 계전기를 결선할 때 PT단자대의 번호는 항상일정한 것이 아니며 Logic을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