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피뢰기
- REF630
- 비상발전기
- 전기기사
- investing
- 체크카드
- 특성요소
- 분로리액터
- 페이저
- 1선지락사고
- 델타결선
- 계전기
- 엑슨모빌
- 배당 지급일
- 직렬리액터
- 4단자망
- 비접지
- 방향성 계전기
- 86
- V결선
- 서지흡수기
- 전압강하
- 배당일
- 병렬콘덴서
- delta결선
- 대칭분 비대칭분
- Phasor
- 소호리액터 방식
- 배당률
- 전기를 끄적이는 메모장
- Today
- Total
목록전기를 끄적이는 메모장/전기기사를 공부하는 필기노트 (35)
전기를 끄적이는 메모장

이번 시간은 지중 전선로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전기기사를 공부할때 패턴이 일정한 유형의 문제로 난이도는 그렇게 높지 않았습니다. 과년도 문제집을 여러번 풀어본누구나 지중전선로관련하여 직접매설식, 관로식, 암거식에 대하여 알아 보았을 것입니다. 하지만 그저 문제로 외우고 넘기기에는 조금의 아쉬움이 남아 그림으로 정리해 보려고 합니다. 서론은 이쯤하고 본론으로 넘어가도록 하겠습니다. 1. 케이블 부설 방식 케이블을 부설하는 방식에는 여러방식이 존재합니다. 하지만 이번 시간에 알아볼 부설방식은 앞서 말한 직접매설식, 관로식, 암거식에 대하여 알아 볼 것입니다. (이외의 방법에 덕트식 방법도 존재합니다.) 2. 직접매설식(트러프, PVC관 방식) (PVC관 방식 중에서도 PE관, 강관등 을..

이번 시간에 알아볼 것은 차단기 동작책무입니다. 정확하게는 차단기 표준동작책무인데요. 전기기사를 공부할 때면 항상 괴롭히던 녀석입니다. 제가 전기기사를 취득할 때 어떻게 정리하였는가에 대한 생각과 차단기 동작책무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1. 차단기 차단기 표준동작책무에 들어가기 앞서 먼저 차단기에 대한 개념을 이해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이를 통해 왜 이러한 동작 책무가 필요한가에 대한 개념을 잡을 수 있게 될 것 입니다. 먼저 차단기는 전력의 송수전 중에 발생하는 고장전류나 전력사고가 발생할 때 사고 구역을 한정하고, 사고확대를 방지하는 역할과 선로 점검시 선로를 개방하는 스위치역할을 겸하는 전력안전장치입니다. 그렇다면 이번 시간에 알아볼 동작 책무는 무엇일까요? 차단기 동작책..

오늘은 퍼센트 임피던스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전기기사를 공부하거나 전공공부를 할 때 %Z에 대해 많이 접해보았을 것입니다. 하지만 제가 전공으로 배웠던 %Z와 실무에서의 %Z는 다른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먼저 퍼센트 임피던스에 대해 알아보고 이후 실무와 전공이 어떻게 다른지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1.퍼센트 임피던스의 정의 먼저 전자용어사전을 인용하여 보면 "변압기를 포함한 회로에서 기준이 되는 전압과 전류를 정하고, 각각의 임피던스를 기준 임피던스의 백분율로 나타낸 것"이라고 나타나 있습니다. 하지만 쉽게 이해하기 어려운 것 같습니다. 더욱 쉽게 나타내기 위해 그림을 통해 알아 보겠습니다. 퍼센트 임피던스에 대해 쉽게 알기 위해 다음과 같은 회로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이번 시간은 대칭분 변환에 이어 발전기의 기본식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공부방향은 다음과 같습니다. 먼저 '발전기의 기본식이 어떻게 생겼는가' 또한 '발전기의 기본식이 어떻게 도출되고 활용되는가'에 대한 궁금증을 공유해 보고 파훼하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1.발전기의 기본식 발전기의 기본식을 파훼하기에 앞서 형태를 바르게 익히고 가야합니다. 왜 정상분에만 Ea라는 발전기 기전력 값이 존재하는지 이해하고 알아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추후에 Z0, Z1, Z2 등 영상, 정상, 역상 임피던스를 선형대수학을 통해 알아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발전기 기본식을 증명하기에 앞서 다음 그림을 보며 발전기의 기본식의 근원을 알아보겠습니다. 발전기는 Ea, Eb, Ec라는 기전력을 생성하게됩니다. ..

영상분, 정상분, 역상분의 의미를 알아보고 왜 분해하여 사용하는지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또한 이번 시간을 통해 연산자의 개념과 대칭분과 비대칭분을 구별하여 올바르게 사고전류를 파악하는데 도움을 드리겠습니다. 가장 먼저 해당 챕터에 들어가기 앞서 Phasor계산에 필수적인 연산자를 알아보겠습니다. 1. 연산자는 무엇인가?( Vector operator) 연산자 A는 크기가 1이고 반시계방향의 각 120도를 갖는 단위 방향벡터입니다. 120도를 사용하는 이유는 전압이나 전류는 3상을 사용하며 위상차이를 가장 분명하게 나타내 줄 수 있는 방법이기 때문입니다. *연산자는 일반적으로 a를 사용 하지만 a상의 a와 많이 혼동되어 저는 A로 치환하여 사용합니다. 그렇다면 이 연산자 A는 어떤 특징을 갖..